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손이예쁜남자 님의 블로그

[25.03.31 하루 상식톡💉]드디어 불이 꺼졌구나, 에헤라디야~ 본문

뉴스

[25.03.31 하루 상식톡💉]드디어 불이 꺼졌구나, 에헤라디야~

손이예쁜남자 2025. 4. 2. 04:25
반응형
"내 조국 돌아가는 상황은 알고 살자." 하는 마음으로 정리합니다.

여러분도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소식 머리에 넣어가실 수 있길 바랄게요.

앞으로 꾸준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경북 지역 대형 산불, 주불 진화 완료

 

지리산국립공원을 위협했던 경남 산청과 하동 지역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가 완료돼 잔불 정리에 들어갔습니다. 한때 지리산 천왕봉까지 근접했던 불길은 지난 29일 밤부터 인력과 장비를 대거 투입하면서 지리산국립공원 내 확산을 막았습니다. 이로써 지난 21일 산청을 시작으로 다음 날 경북 의성 산불까지 10일간 영남 지역을 잿더미로 만든 이번 ‘괴불 산불’의 모든 주불 진화가 완료됐습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11278202

 

경남 ‘산청 산불’ 진화 완료…“이제는 복구의 시간” - 매일경제

산청군, 긴급지원비 1인당 30만원 지급 전소피해 14세대 24명 임시주거시설 마련 특별법 제정, 진화용 헬기 배치 등 대정부 건의

www.mk.co.kr


2. 미국발 악재로 아시아 증시 급락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우려로 인해 아시아 증시가 크게 흔들렸습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4.05% 하락하여 3만5617에 거래를 마쳤으며, 이는 지난해 9월 11일 이후 약 7개월 만에 3만6000 밑으로 떨어진 것입니다. 특히 반도체와 IT 종목의 하락폭이 두드러졌고, 자동차 업체들도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대만과 중국 증시도 각각 4.2%와 0.46% 하락했습니다.

 

https://www.mk.co.kr/news/it/11278923

 

“트럼프 車관세 땐 이 나라가 최악”...127조 타격 우려에 일본 증시 ‘와르르’ - 매일경제

미국발 악재의 영향으로 31일 아시아 증시가 크게 흔들렸다. 일본 증시는 4%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밝힌 자동차 등에 대한 추가 관세로 인해 미국 경기가 둔화되는 것

www.mk.co.kr


3. 코스피 2500선 붕괴, 원/달러 환율 급등

 

한국 증시도 미국발 악재의 영향을 받아 코스피가 3% 급락하여 2480선으로 밀려났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470원선이 무너지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순매도가 이어졌으며, 전문가들은 이번 증시 급락이 트럼프 관세 리스크를 반영하는 과정이라고 분석했습니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78824

 

美상호관세·공매도 재개… 코스피 2500 붕괴 - 매일경제

아시아 증시 블랙먼데이日·대만 4%대 올 최대 낙폭원화값 금융위기 이후 최저

www.mk.co.kr


4. 베트남, 미국 관세 대비 자체 관세 인하

 

베트남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자동차, 액화천연가스(LNG), 일부 농산물을 포함한 다양한 상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인하했습니다. 일부 자동차 관세는 최대 32%까지 인하되어 절반으로 줄어들었고, LNG 세율은 5%에서 2%로 낮아졌습니다. 이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로 해석됩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1279824

 

베트남, 트럼프 ‘관세 폭탄’ 앞두고 車·LNG·농산물 관세 인하 - 매일경제

일부 車 관세 최대 32%까지 인하…LNG 5%→2%

www.mk.co.kr


5. 안전자산 선호 현상 강화

 

글로벌 증시 급락으로 인해 안전자산인 금과 엔화, 미국 장기채권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금은 뉴욕에서 다시 역사적 최고점을 기록했으며, 엔화는 100엔당 986원대로 재진입해 연초 대비 5.5% 상승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금리 하락과 소비심리 부진으로 인해 안전자산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78786

 

소나기 피하고 보자 … 안전자산에 돈몰려 - 매일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커져금값 연일 사상최고치 경신엔화 달러당 149엔대 강세

www.mk.co.kr


6. 윤석열 대통령 탄핵 관련 집회 지속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4월로 넘어간 가운데, 탄핵 찬반 단체들의 집회가 계속되었습니다.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과 야 5당은 경복궁 동십자각 앞에서 탄핵 촉구 범국민대회를 열었고, 반대 측인 자유통일당과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는 헌재 인근에서 철야 집회를 이어갔습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11278955

 

3월 마지막 저녁도…윤석열 ‘탄핵 찬반’ 단체들 투쟁은 계속 - 매일경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4월로 넘어간 가운데, 윤 대통령 탄핵 찬반 단체들은 3월 마지막 날인 31일 저녁도 ‘광장 투쟁’을 이어갔다.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

www.mk.co.kr


7. 공매도 전면 재개 앞둔 국내 증시

 

3월 31일부터 공매도가 전면 허용되면서 국내 주식시장에 상당한 파급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복귀로 국내증시의 상승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반면 대차잔액이 쌓여 있거나 최근 주가가 급등한 기업들은 공매도의 타깃이 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https://www.mk.co.kr/news/editorial/11278699

 

1년5개월만에 공매도 재개, 선진증시 시험대 올랐다 [사설] - 매일경제

1년5개월간 금지됐던 주식 공매도가 31일 재개됐다.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 허용은 2020년 3월 이후 5년 만이다. 공교롭게도 재개 첫날 코스피는 공매도 주요 타깃으로 꼽힌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3%

www.mk.co.kr

 

 

 

반응형